식품 전문 3자 물류업체를 찾고 계시다면 - 풀필먼트 선정 기준

식품은 온도 유지부터 소비기한 관리까지 상당히 까다로운 상품이죠. 이를 전문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풀필먼트를 선별해야 하는데요. 어떤 기준으로 찾아야 할지 함께 살펴봐요
식품 전문 3자 물류업체를 찾고 계시다면 - 풀필먼트 선정 기준

식품 섹터의 온라인 거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죠. “쿠팡, 컬리, 오아시스마켓” 등 식품을 필두로 한 대형 이커머스 업체의 등장과 상온 뿐만 아니라 저온 상품을 취급할 수 있는 이커머스 플랫폼의 물류 고도화가 이를 더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하여 비대면 소비가 확산되는 점도 한 몫을 했죠.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7조였던 온라인 식품 판매 시장이 2023년 40조까지 가파른 성장을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2배 이상의 성장을 냈다는 점이 주목할만한 요소인 것 같습니다.

온라인 식품 거래액 (5개년도)

거래는 늘었지만, 3자물류 인프라 현황은 어떨까?

분명 거래는 늘어났지만요. 식품류를 취급하고 안전하게 배송을 해줄 수 있는 인프라는 턱 없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식품은 일반 상품과는 다르게 상온 뿐만 아니라 저온 상품도 있다 보니 이를 핸들링 할 수 있는 물류업체를 고르는 것이 특히나 까다로운데요.

식품 물류센터

앞서 언급했던 “쿠팡, 컬리, 오아시스마켓” 등은 자사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하기 위한 제조/브랜드사의 상품을 입고시키는 형태의 물류센터를 보유하고 있을 뿐이고, 여러 마켓플레이스를 대응할 수 있는 3자 물류 서비스는 부재한 것 같습니다. 있다고 하더라도 많은 셀러들이 원하는 "쇼핑몰 연동”이 잘 처리되면서, 이를 “고객이 쉽게 확인할 수 있게 가시성을 제공하는 서비스”는 부족한 현실입니다.

💡

3자 물류란? 물류 일부 또는 전체를 "전문 물류 회사"에 위탁하여 관리하고 운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3PL(third party logistics)은 기업이 물류 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대신, 외부 전문 업체가 이를 대행하여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추구하는 전략입니다.

뭐 하나 놓칠 수 없는 고객이라면?

쇼핑몰 연동

풀필먼트 업체에서 제공하는 WMS(Warehouse Management Service)에 쇼핑몰의 상품과 주문이 수집될 수 있는 기능을 일컫습니다. WMS에 사전 등록한 상품과 쇼핑몰 상품을 매핑하면, 매핑된 시점에 맞춰 주문이 자동수집 되는 구조인데요. 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풀필먼트 업체들은 작업을 시작합니다. 업체마다 다르지만 포장을 완료하거나, 포장 완료된 상품을 출고할 때 일반적으로 송장이 쇼핑몰로 자동 업데이트 됩니다.

가시성 제공

IT 기반의 풀필먼트 업체가 아닌 곳들은 외주 업체가 제작한 WMS를 통해서 쇼핑몰 수집 및 주문 연동을 진행하곤 하는데요. 문제는 해당 기능을 풀필먼트 업체만 확인할 수 있고, 고객들에겐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주문에 대해서는 잘 처리할 수 있겠지만 실시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합니다.

식품류는 전문성과 인프라가 필요해요

식품은 취급하기 상당히 까다로운 제품입니다. 소스/조미료와 같은 상품들은 1) 깨지기 쉽고, 냉장/냉동제품은 2) 온도 유지가 필수입니다. 또한 공통적으로 3) 소비기한을 관리해야 하죠. 또한 최근에는 국경 간 거래가 활발하다보니, 4) 수출입에 대한 이해까지 필요한 업체를 찾곤 하는데요.

식품 취급 어려움

이 4가지 박자를 모두 갖춘 풀필먼트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바로 디지털 포워딩 ‘쉽다’입니다. 포워딩이란 수출입 운송을 포함한 모든 운송수단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데요. 풀필먼트도 하나의 운송수단으로서 IT 기술을 기반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체 IT 인프라(풀필먼트)를 구축하고 있어요.

WMS부터 OMS, TMS까지 풀필먼트를 자체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황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대시보드부터 상품/입고/출고/반품/재고관리와 같은 기본 기능은 물론, 다양한 쇼핑몰들과 연동할 수 있는 쇼핑몰 연동관리(스마트스토어, 쿠팡, 카페24 등)도 구축되어 있습니다.

쇼핑몰 연동

또한 식품류는 “소비기한” 관리가 굉장히 중요한데요. 입고 시, 소비기한 관리를 설정해두면 소비기한에 맞춰 보관하고, 선입선출 형태로 출고가 진행되어 원활한 관리가 가능합니다.

소비기한 관리

상온/저온센터를 모두 운영해요.

쉽다 풀필먼트는 단일센터를 운영하고 있고, 인천시 서구에 위치해 있는데요. 상온/저온 센터를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식품의 경우, 상품에 따라 보관방법이 다양할텐데요. 한 곳에서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이점인 것 같아요.

수출입 운송을 메인으로, 모든 운송 형태를 지원해요.

디지털 포워딩 ‘쉽다’는 풀필먼트 외 수출입 운송을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상품을 국내센터에 입고한 뒤 해외로 내보내고자 하는 니즈도 있고, 해외 상품을 수입해 국내에서 유통하고자 하는 니즈들이 점점 많아지죠. 수출입 운송이 주력인 서비스이다보니, 그 어떠한 서비스보다 글로벌 영역을 잘 다룰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수출입 운송

Share article

디지털 포워딩 서비스 - 쉽다(ShipDa)